2025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순위 1위부터 50위까지 아파트 현황

2024년 7월 31일,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시공능력평가 결과는 한국 건설업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시공능력평가는 건설사의 공사 수행 능력을 평가하여,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시공능력평가의 개념 및 중요성과 함께, 2025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순위 1위부터 50위까지의 현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썸네일

시공능력평가란 무엇인가?

시공능력평가는 건설업체의 공사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점수화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평가제도는 입찰자격을 제한하고 시공사를 선정하는 데 활용되며, 건설업체의 신용평가와 보증심사에도 적용됩니다.

시공능력평가는 매년 실시되며, 2024년에는 총 73,004개사의 건설업체가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는 전체 건설업체의 약 85.2%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평가는 공사실적평가액, 경영평가액, 기술능력평가액, 신인도평가액으로 구성되며, 각 항목은 정해진 기준에 따라 산정됩니다. 특히, 토목과 건축 분야로 나뉘어 평가되지만, 일반적으로 토건 분야를 기준으로 하는 순위가 발표됩니다.

이는 건설업체의 실적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평가 항목 설명
공사실적평가액 건설사가 수행한 공사의 실적을 금액으로 환산한 값입니다.
경영평가액 업체의 재무 상태와 경영 능력을 평가한 값입니다.
기술능력평가액 업체의 기술적 역량을 평가한 값입니다.
신인도평가액 업체의 평판 및 신뢰도를 평가한 값입니다.

2025 시공능력평가 순위 현황

2024년 시공능력평가 결과에 따르면, 삼성물산이 1위를 차지하였으며,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이 뒤를 이었습니다. 상위 10위의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건설사 시공능력평가액
1 삼성물산 30조 원 이상
2 현대건설 20조 원 이상
3 대우건설 15조 원 이상
4 현대엔지니어링 12조 원 이상
5 DL이앤씨 11조 원 이상
6 GS건설 10조 원 이상
7 포스코이앤씨 9조 원 이상
8 롯데건설 8조 원 이상
9 SK에코플랜트 7조 원 이상
10 HDC현대산업개발 6조 원 이상

이러한 순위는 건설업체들이 향후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수행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범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삼성물산은 11년 연속으로 1위 자리를 지켰으며, 시공능력평가액이 30조 원을 돌파한 것은 주목할 만한 성과입니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은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며, 건설업계의 주요 플레이어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현대엔지니어링 및 DL이앤씨, GS건설 등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다른 내용도 보러가기 #1

아파트 분야 시공능력평가 순위 변화

아파트 분야에 한정하여 시공능력평가를 살펴보면, 건설사들의 순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공사실적과는 달리 아파트 분야에서는 GS건설이 1위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GS건설이 최근 몇 년간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설에 집중하며 공사 실적을 높였기 때문입니다.

순위 건설사 대표 아파트 브랜드
1 GS건설 자이
2 삼성물산 래미안
3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4 대우건설 푸르지오
5 현대엔지니어링 아이파크
6 DL이앤씨 e편한세상
7 포스코이앤씨 더샵
8 롯데건설 롯데캐슬
9 SK에코플랜트 SK VIEW
10 HDC현대산업개발 현대지식산업센터

GS건설의 경우, 자이 아파트 브랜드로 대규모 아파트 건설을 진행하며 높은 실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아파트 분야에서의 경쟁은 상대적으로 치열하며, 각 건설사들은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 신뢰를 쌓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최근 몇 년 간의 부실 시공 문제로 인해 신뢰도가 하락하였으나, 이번 평가에서 다시 TOP10에 진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에게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시공능력평가의 중요성과 향후 전망

시공능력평가는 건설업체들의 재무 상태와 기술적 역량을 판별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건설업계의 불황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기업들은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기술력을 강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인도평가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건설사들은 안전 관리와 품질 보증을 강화하는 데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시공능력평가의 중요성 설명
건설사 선정의 기준 발주자는 시공능력평가를 통해 적합한 건설사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공공공사 및 민간공사 참여 기회 증가 높은 평가를 받은 건설사는 보다 많은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 신뢰도 향상 신뢰할 수 있는 건설사가 제공하는 주거 환경은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지속 가능한 경영의 필요성 ESG 경영과 같은 지속 가능한 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건설사도 이에 대응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2024년 시공능력평가는 건설사들에게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며, 기업들은 이를 통해 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고, 안전한 주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각 건설사들이 내실 있는 공사와 경영을 통해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모습을 기대해봅니다.

관련 영상

같이 보면 좋은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